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을 위한 정부의 복지 정책으로, 매달 일정 금액을 적금 형태로 납입하면 만기 시 정부의 기여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소득 요건과 정부 기준을 충족할 경우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의 주요 혜택
안정적인 자산 형성
청년도약계좌는 낮은 금리와 경제 상황으로 인해 자산 형성이 어려운 청년들에게 안정적이고 안전한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매달 적금을 넣는 것만으로도 정부의 기여금을 통해 자산을 늘릴 수 있습니다. 2023년 기준, 정부 예산으로 3,678억 원이 편성되었습니다.
가입 한도 및 기여금
가입자는 매월 일정 금액을 5년(60개월) 동안 납입해야 하며, 한 달 최대 납입 금액은 70만 원입니다. 다음은 소득에 따라 기여금 지급 한도와 매칭 비율입니다.
| 개인소득(총급여) | 월 납입 한도 | 기여금 지급 한도(월) | 기여금 매칭 비율 | 기여금 한도(월) | 
|---|---|---|---|---|
| 2,400만 원 이하 | 70만 원 | 40만 원 | 6.0% | 24,000원 | 
| 3,600만 원 이하 | 50만 원 | 23,000원 | 4.6% | 23,000원 | 
| 4,800만 원 이하 | 60만 원 | 22,000원 | 3.7% | 22,000원 | 
| 6,000만 원 이하 | 70만 원 | 21,000원 | 3.0% | 21,000원 | 
| 7,500만 원 이하 | – | – | – | – | 
기여금 지급 한도는 소득에 따라 달라지며, 적립금에 대한 이자는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후 2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
가입할 수 있는 자격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청년
– 개인소득 기준으로 7,500만 원 이하
– 가구소득 기준으로 기준중위소득 180% 이하
기준중위소득
기준중위소득 180%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가구원 수 | 기준 중위소득 180% | 
|---|---|
| 1인 | 3,740,206원 | 
| 2인 | 6,221,079원 | 
| 3인 | 7,982,669원 | 
| 4인 | 9,721,735원 | 
| 5인 | 11,395,238원 | 
중도해지 및 가입 제한 사항
가입 후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면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다음 사항에 해당될 경우 가입이 제한됩니다.
– 직전 3개 년도 중 1회 이상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
– 금융소득(이자 소득 + 배당 소득)이 2천만 원을 초과
– 청년희망적금과 동시 가입 불가
청년도약계좌의 이점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이 자산을 안전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정책입니다. 가입 후 만기 시 수령하는 기여금과 비과세 이자는 청년들의 재정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따라서 자신의 소득 수준과 조건을 잘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질문1: 청년도약계좌는 누구나 가입할 수 있나요?
가입 조건인 연령과 소득 기준을 충족하는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습니다.
질문2: 가입 후 기여금은 어떻게 지급되나요?
가입자는 매월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에서 정한 비율로 기여금을 지급받으며, 이는 소득 구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질문3: 기여금 지급 한도는 어떻게 되나요?
기여금 지급 한도는 개인소득에 따라 다르며, 월 최대 40만 원까지 납입할 수 있는 경우 기여금이 최대 24,000원으로 설정됩니다.
질문4: 중도해지 시 혜택은 유지되나요?
중도해지 사유에 해당되면 정부의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청년도약계좌의 이자는 어떻게 지급되나요?
가입 후 3년 동안은 고정금리가 적용되고, 이후 2년은 변동금리로 이자가 지급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