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톡의 숏폼 기능이 도입되면서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들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카카오톡 숏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카카오톡 숏폼 기능의 배경
숏폼이 생긴 이유
카카오톡은 시장 경쟁과 사용자 이탈 방지를 위해 숏폼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틱톡, 인스타그램 등 다른 플랫폼들이 숏폼 콘텐츠로 인기를 끌자, 카카오톡은 2025년 9월 23일에 진행된 대규모 업데이트를 통해 숏폼 탭을 전면에 내세웠습니다. 이로 인해 기존의 오픈채팅 탭이 ‘지금’ 탭으로 변경되었고, 사용자들은 원치 않는 콘텐츠를 자동으로 재생되는 상황에 직면하게 되었습니다.
숏폼을 완전히 끌 수 없는 이유
현재 카카오톡 앱 내에서는 숏폼을 완전히 끄는 공식 설정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자동 재생 기능은 끌 수 있지만, 숏폼 썸네일이나 ‘지금’ 탭을 비활성화할 수는 없습니다. 카카오 측에서도 이 문제에 대해 공식적으로 “앱 내에서 숏폼을 끄는 기능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이에 따라 많은 사용자들이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으며, 우회적인 방법을 찾아야 합니다.
카카오톡 숏폼 끄기 방법
자동 업데이트 차단하기
가장 간단한 방법은 카카오톡의 자동 업데이트를 차단하는 것입니다. 아직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하지 않았다면, 이 방법으로 숏폼 기능의 도입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안드로이드: 플레이스토어에서 카카오톡 앱을 검색한 후, 우측 상단의 점 3개 아이콘을 클릭하고 ‘자동 업데이트 사용’ 옵션을 해제합니다.
- iOS: 앱스토어 설정으로 이동하여 자동 업데이트 옵션을 비활성화합니다.
주의: 이미 카카오톡이 자동 업데이트된 경우, 이 방법은 더 이상 효과가 없습니다.
구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하기 (안드로이드 한정)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된 경우, 안드로이드 사용자는 구버전으로 다운그레이드할 수 있습니다. 카카오톡 앱을 삭제한 후, 숏폼 기능이 도입되기 전인 25.7.3 버전 등의 APK 파일을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하여 설치합니다. 설치 후에는 반드시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광고 차단 앱 사용하기
광고 차단 앱을 활용하면 숏폼 탭을 일부 비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AdGuard나 Unicorn Pro와 같은 앱에 특정 필터 규칙을 적용하여 숏폼 콘텐츠를 차단할 수 있습니다.
예시 필터 규칙:
– ||play.kakao.com^
– ||shorformstats.kakao.com^
주의: 이 방법은 아이폰의 경우 사파리 브라우저에서만 적용되며, 카카오톡 앱 내에서는 완전 차단이 어렵습니다.
PC 버전 카카오톡 활용하기
모바일 카카오톡에서 숏폼 노출이 불편하다면, PC 버전 카카오톡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대안입니다. 현재 PC 버전에는 숏폼 기능이 적용되지 않아, 불필요한 콘텐츠 없이 메시지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대체 메신저 고려하기
카카오톡의 숏폼 기능 도입으로 인해 다른 메신저로 이동할 것을 고려하는 사용자들이 늘고 있습니다. 네이버 라인, 텔레그램, RCS 등 다양한 대체 메신저가 있으며, 각각의 장단점이 존재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카카오톡 숏폼을 완전히 끌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아쉽게도 카카오톡 앱 내에는 숏폼 콘텐츠 탭을 완전히 비활성화하는 공식적인 설정은 현재 제공되지 않습니다. 자동 재생은 끌 수 있지만, 숏폼 탭 자체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안드로이드폰에서 구버전 카카오톡을 설치해도 안전한가요?
신뢰할 수 있는 사이트(예: APKMirror)에서 다운로드한다면 비교적 안전합니다. 하지만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은 악성코드 감염 위험이 있으므로 항상 주의해야 합니다. 설치 후에는 반드시 자동 업데이트를 비활성화해야 합니다.
아이폰 사용자도 광고 차단 앱으로 숏폼을 완전히 막을 수 있나요?
아이폰의 경우, 광고 차단 앱은 사파리 브라우저에서만 주로 작동하며, 카카오톡 앱 내의 숏폼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일부 콘텐츠는 가려질 수 있지만, 탭 자체를 없앨 수는 없습니다.
이전 글: 2025 지역별 효도수당 및 신청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