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아휴직을 신청하는 과정은 특히 소규모 기업에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육아휴직 확인서를 작성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
-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 절차
- H3 1단계: 로그인
- H3 2단계: 메뉴 탐색
- H3 3단계: 근로자 정보 입력
- H3 4단계: 자녀 정보 입력
- H3 5단계: 자녀 주민등록번호 입력
- H3 6단계: 육아휴직 기간 설정
- H3 7단계: 통상임금 입력
- H3 8단계: 근로시간 입력
- H3 9단계: 급여지급 내역 입력
- H3 10단계: 증명자료 첨부
- H3 11단계: 최종 확인 및 저장
- H3 12단계: 제출 및 처리 상태 확인
- 주의사항 및 팁
- 자주 묻는 질문
-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후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 육아휴직 중 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 근로자의 통상임금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후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 육아휴직 확인서에 필요한 자녀 정보는 무엇인가요?
- 함께보면 좋은글!
육아휴직 확인서 작성 절차
H3 1단계: 로그인
기업의 공인인증서를 사용하여 시스템에 로그인합니다.
H3 2단계: 메뉴 탐색
기업 서비스 메뉴에서 “모성보호”를 선택하거나, 메인 화면에서 해당 메뉴로 직접 이동합니다.
H3 3단계: 근로자 정보 입력
육아휴직을 신청할 직원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면, 이름이 자동으로 나타납니다.
H3 4단계: 자녀 정보 입력
자녀의 성명은 필수 입력 사항은 아니지만, 있을 경우 기입합니다. 임신 중인 경우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H3 5단계: 자녀 주민등록번호 입력
자녀의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임신 중일 경우 해당 박스를 체크합니다. 출산일 또는 예정일도 기입해야 합니다.
H3 6단계: 육아휴직 기간 설정
예정된 육아휴직 기간을 입력합니다.
H3 7단계: 통상임금 입력
육아휴직 급여는 통상임금의 80%로, 세전 기본급을 입력해야 합니다. 기본급 확인은 급여명세서 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가능합니다.
H3 8단계: 근로시간 입력
근로자가 월 몇 시간 일했는지를 입력합니다. 일반적으로 월 법정근로시간인 209시간을 입력합니다.
H3 9단계: 급여지급 내역 입력
급여지급 내역은 필수는 아니지만, 만약 육아휴직 중 급여를 받았다면 해당 금액을 기입합니다.
H3 10단계: 증명자료 첨부
근로자의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임금대장, 근로계약서 등)를 첨부합니다. 육아휴직 중 급여를 받았다면 급여이체 명세서도 포함해야 합니다.
H3 11단계: 최종 확인 및 저장
모든 정보를 확인한 후,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H3 12단계: 제출 및 처리 상태 확인
제출 후 접수번호, 접수일, 처리 기관 등의 정보가 나타납니다. 고용노동부의 처리 시간이 길 수 있으므로, 약 2주 정도 기다립니다.
주의사항 및 팁
- 서류 준비: 모든 증명자료를 미리 준비하여 제출 시 누락되는 일이 없도록 합니다.
- 정확한 정보 입력: 주민등록번호 및 임금 관련 정보는 정확히 입력해야 합니다.
- 처리 상황 확인: 고용노동부에 접수 후, 처리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후 얼마나 기다려야 하나요?
제출 후 약 2주 정도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육아휴직 중 급여를 받을 수 있나요?
육아휴직 중 급여를 받는 경우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반드시 관련 내역을 입력해야 합니다.
근로자의 통상임금 확인은 어떻게 하나요?
근로계약서나 급여명세서를 통해 통상임금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육아휴직 확인서 제출 후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하나요?
문제가 발생할 경우 근로복지공단에 직접 연락하면 됩니다.
육아휴직 확인서에 필요한 자녀 정보는 무엇인가요?
자녀의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 출산일 또는 예정일이 필요합니다.